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은 1948년 설립된 북한의 외교를 담당하는 중앙 행정 기관이다. 외무성에는 외무상, 제1부상, 7명의 부상이 있으며, 산하에 여러 국, 연구소, 후원 민간 단체를 두고 있다. 외무성은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전 세계에 대사관 및 총영사관을 설치하여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역대 외무상과 부상 명단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최고인민회의
    최고인민회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 주권 기관으로, 입법권을 행사하며 예산 심의, 주요 기관 선출, 법안 심의 확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5년에 한 번 대의원 선거를 실시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앙 행정기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는 2016년 국방위원회를 대체하여 신설된 최고 정책 지도 기관으로, 국방 및 안보 정책을 포함한 국가 주요 정책을 심의하고 결정하며, 위원장은 국가를 대표하고 김정은이 맡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앙 행정기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은 1948년 북한 내각에 설치되어 문화예술 정책을 총괄하다 1957년 폐지되었으며, 허정숙이 초대 문화선전상을 맡아 로동신문, 민주조선, 국립민족예술극장 등을 통해 문화예술을 체제 선전과 인민 교화의 도구로 활용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개요
외무성 로고
외무성 로고
유형정부 부처
관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현황운영 중
설립일1948년 9월 8일
상위 기관내각
하위 기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재외공관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명칭
공식 명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한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한자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外務省
로마자 표기Joseon Minjujuui Inmin Gonghwaguk Oemuseong
주요 인물
외무상최선희
조직
산하 기관미국연구소
일본연구소
군축평화연구소
외교 관계
관련 정보대외 관계

2. 연혁

1948년 외무성이 설치되었다.[6]

3.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에는 외무상 외에 제1부상 1명과 7명의 부상이 있다.[2] 현재 제1부상은 김계관이다. 다른 부상으로는 최선희, 한성렬[3], 최희철이 있다.[4] 외무성 산하에는 미국 연구소가 있다.[5]

3. 1. 기능 중심 산하 국

외교 정책 수립 및 시행, 조약 기타 국제 협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재외국민 보호 지원, 문화협력 및 대외공보 사무, 국제사정 조사 및 이민사무를 관장한다.[7][8]

순수하게 외교 및 영사 업무만 담당하고 있으며, 대외 경제 관련 외교 정책 수립 시행 및 종합 조정은 대외경제위원장이, 무역 및 외국과의 통상과 통상 교섭 업무는 무역상이 관장한다.

  • 보도국
  • 영사국
  • 조약법규국
  • 의례국
  • 국제기구국
  • 령사조약법규국(영사조약법규국)
  • 경제협조국

3. 2. 지역별 담당 국

국명담당자
아시아1국[9]박명호
아시아2국[10][11]박상길
유럽1국[12][13]김정규
유럽2국[14]김선경
북아메리카국[15]김은철
아프리카, 아랍, 라틴아메리카국[16]허용복


3. 3. 산하 연구소


  • 군축평화연구소
  • 미국 연구소[5]
  • 일본 연구소

3. 4. 후원 민간 단체

단체명
조중민간교류촉진협회
조미민간교류협회
조선-캐나다 협조사
조일교류협회
조선-유럽협회
국제경제 및 기술교류촉진협회


4. 재외 공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세계 각국에 대사관, 총영사관, 영사사무소 등 재외공관을 설치하여 외교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구체적인 재외공관 목록은 하위 문서를 참고.

4. 1. 아시아

국가소재 공관
اليمن|예멘ar주 예멘 대사관
ایران|이란fa주 이란 대사관
भारत गणराज्य|인도hi주 인도 대사관
Republik Indonesia|인도네시아id주 인도네시아 대사관
Oʻzbekiston Respublikasi|우즈베키스탄uz주 우즈베키스탄 대사관
ព្រះរាជាណាចក្រកម្ពុជា|캄보디아km주 캄보디아 대사관
الكويت‎|쿠웨이트ar주 쿠웨이트 대사관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시리아ar주 시리아 대사관
Singapore|싱가포르영어주 싱가포르 대사관
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태국th주 태국 대사관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주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 선양 총영사관, 홍콩 총영사관, 단둥 영사사무소
सङ्घीय लोकतान्त्रिक गणतन्त्र नेपाल|네팔ne주 네팔 대사관
اسلامی جمہوریہ پاکستان|파키스탄ur주 파키스탄 대사관, 카라치 총영사관
গণপ্রজাতন্ত্রী বাংলাদেশ|방글라데시bn주 방글라데시 대사관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베트남vi주 베트남 대사관
Монгол Улс|몽골mn주 몽골 대사관
ສາທາລະນະລັດ ປະຊາທິປະໄຕ ປະຊາຊົນລາວ|라오스lo주 라오스 대사관
الجمهورية اللبنانية|레바논ar주 레바논 대사관


4. 2. 유럽

국가소재지겸임국
United Kingdom|영국영어런던Ireland|아일랜드ga
Italia|이탈리아it로마Malta|몰타몰타어, 키프로스, 산마리노, 국제 농업 개발 기구, WFP, IFAD
Österreich|오스트리아de슬로베니아, IAEA, UNIDO, CTBTO, UNOV
Schweiz|스위스de베른제네바, UNOG
Sverige|스웨덴sv스톡홀름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아이슬란드, 덴마크, 핀란드
España|스페인es마드리드
Česko|체코cs프라하슬로바키아
Deutschland|독일de베를린
България|불가리아bg소피아북마케도니아, 알바니아, 튀르키예
Беларусь|벨라루스be민스크
Polska|폴란드pl바르샤바
România|루마니아ro부쿠레슈티몰도바,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Россия|러시아ru모스크바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에는 총영사관 및 영사사무소도 소재하고 있다. 주나홋카 총영사관, 주니즈니노브고로트 총영사관, 주하바롭스크 영사사무소가 있다.


4. 3. 아메리카


  • 주쿠바 대사관
  • Embaixada da Coreia do Norte em Brasília|주브라질 대사관pt
  • 주베네수엘라 대사관
  • 주멕시코 대사관

4. 4. 아프리카

국가주재 대사관
우간다우간다 대사관
이집트이집트 대사관
에티오피아에티오피아 대사관
가나가나 대사관
기니기니 대사관
콩고 민주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 대사관
적도 기니적도 기니 대사관
탄자니아탄자니아 대사관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 대사관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프리카 대사관


5. 역대 외무상

다음은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창설 이후 역대 외무상 목록이다.[6]

순서초상이름취임일퇴임일국가원수내각총리
1
박헌영1948년 9월 9일1953년 3월 3일김두봉김일성
2
남일1953년 3월 3일1959년 10월 23일김두봉
최용건
3
박성철1959년 10월 23일1970년 7월 1일최용건
4
허담1970년 7월 1일1983년 12월 1일최용건
김일성
김일성
김일
박성철
리종옥
5
김영남1983년 12월 1일1998년 9월 5일김일성
공석
리종옥
강성산
리근모
연형묵
강성산
홍성남
6
백남순1998년 9월 5일2007년 1월 2일김영남홍성남
박봉주
강석주
(직무대리)
2007년 1월 3일2007년 5월 18일박봉주
김영일
7
박의춘2007년 5월 18일2014년 4월 9일김영남
김정일
공석
김정은
김영일
최영림
박봉주
8
리수용2014년 4월 9일2016년 5월 9일김정은박봉주
9
리용호2016년 5월 13일2020년 1월 18일박봉주
김재룡
10
리선권2020년 1월 21일2022년 6월 11일김재룡
김덕훈
11
최선희2022년 6월 11일현재김덕훈


6. 역대 부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대 외무성 부상
기수이름임기
1기주영하1948년 9월 2일 ~ 1948년 9월 9일
2기박길룡1948년 9월 2일 ~ 1948년 9월 9일
1기김책1948년 9월 9일 ~ 1950년 5월 2일
1기리강국1948년 9월 9일 ~ 1953년 8월 5일
1기황태성1950년 5월 2일 ~ 1956년 10월 11일
1기박길룡1953년 8월 5일 ~ 1956년 10월 11일
3기박성철1956년 10월 11일 ~ 1959년 10월 22일
3기황태성1959년 10월 22일 ~ 1960년 2월 21일
3기계응태1960년 2월 21일 ~ 1961년 12월 21일
3기권희경1965년 ~ 1970년
3기권희경1971년 ~ 1972년 1월
1기강석주1984년 3월 22일 ~ 1986년 7월 24일
1기최수헌1986년 7월 24일 ~ 1987년 7월 8일
2기최수헌1989년 7월 6일 ~ 1990년 4월 17일
2기송호경1990년 4월 17일 ~ 1992년 1월 9일
2기최수헌1992년 1월 9일 ~ 1992년 8월 5일
2기송호경1992년 8월 5일 ~ 1995년 1월 5일
2기김계관1995년 1월 5일 ~ 1998년 9월 1일
4기김계관1998년 9월 1일 ~ 2000년 3월 23일
2기강석주1998년 9월 1일 ~ 2010년 9월 15일
4기궁석웅2000년 3월 23일 ~ 2001년 1월 11일
4기김계관2001년 1월 11일 ~ 2003년 1월 16일
4기박길련2003년 1월 16일 ~ 2003년 3월 27일
4기강석주2003년 3월 27일 ~ 2009년 3월 26일
4기최수헌2009년 3월 26일 ~ 2009년 8월 27일
4기김영일2009년 8월 27일 ~ 2010년 3월 2일
4기강석주2010년 3월 2일 ~ 2010년 9월 15일
4기김형준2010년 9월 15일 ~ 2013년 2월 5일
4기신홍철2013년 2월 5일 ~ 2014년 2월 5일
4기강석주2014년 2월 5일 ~ 2015년 2월 15일
4기신홍철2015년 2월 15일 ~ 2015년 9월 16일
4기리용호2015년 9월 16일 ~ 2016년 5월 9일
4기김계관2016년 5월 9일 ~ 2019년 4월 25일
4기최선희2019년 4월 25일 ~ 2022년 6월 10일
4기공석



외무성에는 외무상 외에 제1부상 1명과 7명의 부상이 있다.[2] 현재 제1부상은 김계관이다. 다른 부상으로는 최선희, 한성렬[3], 최희철이 있다.[4]

외무성 산하에는 미국연구소[5]라는 기구가 있다.

7. 비판 및 논란

해당 섹션은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7. 1. 대남 정책

2024년 5월, 김정은이 북한의 통일 정책에 대한 대대적인 변화를 촉구한 후, 데일리NK는 외무성이 남한과의 관계를 담당하는 책임을 통일전선부에서 이관받았다고 보도했다.[1]

참조

[1] 뉴스 N. Korea shifts United Front Department roles to foreign ministry, military https://www.dailynk.[...] 2024-10-10
[2] 웹사이트 Choe Son-hui, N.K. diplomat on U.S. affairs, promoted to vice minister http://english.yonha[...] Yonhap 2018-05-15
[3] 웹사이트 Choe Son Hui promoted to vice-minister at DPRK foreign ministry: sources https://www.nknews.o[...] 2018-05-16
[4] 웹사이트 FM Delegation Leaves for Singapore http://www.rodong.re[...] 2018-05-16
[5] 뉴스 North Korea calls South Korea's F-35 jet purchases 'extremely dangerous action' https://www.reuters.[...] Reuters 2019-07-10
[6] 웹사이트 Foreign ministers E-K http://rulers.org/fm[...] B. Schemmel 2018-05-16
[7] 웹인용 웜비어 사망 3주기...모친 “북한 불법 활동 최대한 폭로” https://www.voakorea[...] 2024-05-26
[8] 웹인용 北, 외무성 공식 홈페이지 개설..."내부 조직, 담당 부서 '11국 3연구소' 공개" https://www.spnews.c[...] 2024-05-26
[9] 문서 중국, 일본, 몽골을 담당
[10] 문서 베트남, 미얀마, 태국, 필리핀, 라오스, 말레이시아, 캄보쟈, 싱가포르, 브루네이, 네팔, 이란, 인디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몰디브,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피지, 파푸아 뉴기니, 나우루, 바누아투 등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나라들. 아세안 및 남아시아 협력기구 담당
[11] 웹인용 수교 75주년 앞두고…베트남 찾은 박상길 北 외무성 부상 https://www.asiatoda[...] 2024-10-25
[12] 문서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타키키스탄, 몰도바,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 그루지야
[13] 웹인용 북, 러 파병에 "그런 일 있다면 국제법적 규범에 부합" https://www.yonhapne[...] 2024-10-25
[14] 문서 서유럽, 남유럽, 북유럽 국가 전반
[15] 문서 미국, 캐나다
[16] 문서 아프리카, 중동, 중남 아메리카 국가 전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